염불만일회2007

본문 바로가기
동산반야회 동산불교대학


전법신행활동
염불만일회2007 Home > 전법신행활동 > 염불만일회2007

염불만일회2007

제1차년도(1998년) 제2차년도(1999년) 제3차년도(2000년) 제4차년도(2001년)
제5차년도(2002년) 제6차년도(2003년) 제7차년도(2004년) 제8차년도(2005년)
제9차년도(2006년) 제10차년도(2007년) 제11차년도(2008년) 제12차년도(2009년)
제13차년도(2010년) 제14차년도(2011년) 제15차년도(2012년) 제16차년도(2013년)

제10차년도(2007년)
제6차 전국염불만일회(2007년7월 29일~7월 31일)
10차년도 만해마을·건봉사 염불 성지대회



천년의 염불결사를 간직해온 건봉사!
백담사 만해마을에서
염불정진하는 염불행자!
무량광 무량수 나무아미타불!


백담사 만해마을은
 
 
 

 
 


한국문학사의 불멸의 시인이자 진보적 사상가, 불교의 대선사, 민족운동가로 일제 강점기 암흑시대 겨례의 가슴에 영원히 꺼지지 않을 민족혼을 불어 넣어 주신 만해 한용운 선생의 자유사상, 민족사상, 진보사상을 높이 기리고 선양하기 위한 실천의 장으로 설립된 백담사 만해마을. 만해 한용운 선생의 조선불교유신론, 불교대전, 님의 침묵, 십현담주해 등의 저서와 유품과  친필, 주제·연대 별로 본 만해의 일대기가 전시되어 있는 만해문학박물관이있다.

풍난 보다 매운 향내, 그것은 만해 한용운 선생의 인격, 절조, 예술, 그리고 생애의 전부였다. 조선독립의 날까지 절조를 지키며 말년에 기거하셨던 성북동 심우장의 상징으로 시인, 묵객, 지식인들이 모여 이 시대의 정신과 문학을 토론하고 고민하는 공간이다.

제6차 전국염불만일회 제10차년도
백담사 만해마을·건봉사 성지대회
첫째 날 (만해마을/7월 29일/일)

입재식 

제10차년도 만해마을 염불성지대회 입재
불기 2551년(2007년) 7월29일~31일까지 백담사 만해마을과 금강산 건봉사에서 제10차년도 전국염불만일성지대회가 진행되었습니다. 제1차년도 건봉사에서 시작된 이 염불결사가 어느덧 10년차를 맞아 성숙의 단계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이 염불행사를 계기로 우리나라 불교계의 염불수행법이 폭발적 성장의 모체가 될 것을 다짐합니다.


▲전국염불만일회 대표 김재일 법사


▲질서정연하게 염불당에서 염불정진하는 회원들


▲만해마을 주지스님 삼조스님의 인사 말씀


▲염불행자들의 염불정진 입재식 (오후2시)


▲염불정진 기간 동안 차공양을 하는 동산다도학과


◀저녁예불(오후 6시)후 시원한 백담사 계곡을 끼고 건립된 염불강당에서 찬불가 ‘머루와다래’의 진행으로 흥겹게 어울리는 염불행자들

▲다도시현‘육바라밀 염불명상차’

둘째 날 (7월 30일/월)
오전 : 행선염불
오후 : 염불본행사
저녁 : 촛불행진·호마천도
          대동제·철야염불정진


▲만해법당에서 새벽예불에 동참하다.


▲백담사 만해마을 주변의 십이선녀탕을 돌면서 행선염불


▲본행사(오후2시)를 여는 천수북 시현


▲10년간 염불행사에 빠짐없이 참여한 이천 염불팀 공로상 수상


▲동산범패반의 바라시현


▲육바라밀. 육염불실천 다짐 연비


▲호마천도의식과 대동제


▲동산의식반의 염불의식 집전




셋째 날 (건봉사7월 31일/화)
건봉사
등공대 참배


▲발징화상과 31인이 등공한 등공대에서 염불행자들의 다짐


▲동산풍물반의 사물시현


▲금강산 건봉사 회주이신 영도스님의 환영인사와 격려사

 

동산반야회 소개 | 대학 소개 | 대학원 소개 | 의식교육원 소개 | 개인정보 취급방침 | 서비스 이용약관
동산반야회 불교대학
주소 : (03150)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45-11 (수송동46-20)
전화 : 02)732-1206~8 / 팩스 02)732-1207 / Email : dongsan@dongsanbud.net

COPYRIGHT DONGSANBUD.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