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불만일회소개
27년 5개월 염불결사 대장정 나무아미타불! 염불 일만일 (1998. 8. 5~ 2025. 12 .21) 나무아미타불을 부르면 한없이 밝게 살수 있습니다. 나무아미타불을 부르면 영원한 생명을 살 수 있습니다.
'힘차게 신나게 멋있게 염불합시다' 를 주제로 내건 제6차 전국염불만일회가 8월 6일 강원도 고성건봉사에서 제1차 성지대회 겸 염불만일회 결성식을 갖고 27년 5개월의 염불결사에 들어갔다. 8월 5일부터 7일까지 인원 1천5백여 명이 동참한 가운데 치뤄진 전국염불만일회는 경덕왕 17년(758) 발징화상이 처음 개설한 이래 조선시대와 일제시대를 거치며 건봉사에서만 5차례 열려온 한국불교 고유의 불교결사다.
이같은 결사 운동은 대중의 서원과 실천력을 바탕으로 공동체적 삶의 테두리 안에서 개인적 차원의 문제뿐 아니라 환경등 제반 사회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수행풍토를 쇄신하는 등 부처님의 가르침에 충실하게 다가가기 위한 적극적 신행의 한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 결사는 출가승단위주의 교단운영이 아니라 사부대증이 같이 참여하는 결집체라는 점이 특징이다.
염불결사!! 부처님 가르침에 충살하고자 결성
옛부터 불가에서는 수행 본연의 자세로 돌아가 부처님의 가르침을 올바로 실천하고, 불교가 당면한 여러 사회적 경제적 위기를 극복하는 한 방법으로서 결사(결사)가 행해져 왔다.
종교사회 운동의 한 형태라 할 수 있는 이 결사는 출가승단위주의 교단운영이 아니라 사부대중이 같이 참여하는 결집체라는 점이 특징이다.한국불교에서 결사운동은 교단이 미처 해내지 못했던 사원의 유지보수나 종교탄압에의 항거, 경제적 어려움 극복 등에 앞장 서 오면서 종교운동을 주도했다.
결사운동은 중국 동진시대 혜원스님이 여산의 동림사에서 맺은 백련결사(백련결사)를 그 시초로 보고 있다.
무량수불을 모시고 서방정토 왕생을 위한 염불수행을 위주로 하였는데, 이후 혜원의 백련결사는 이상적인 결사운동의 전형적인 시원으로 인식되었다.우리나라에서는 신라 통일기를 전후해 불교가 대중화되면서 결사운동이 점차 활발하게 왕실과 귀족의 지원에 의한 화엄결사가 조직되기도 하고, 아미타신앙과 미륵신앙에 바탕을 둔 염불결사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758년(경덕왕 17) 발징화상이 간성 건봉사에서 만일염불결사(만일념불결사)를 맺고 염불수행을 하다가 29년 만인 786년 31명이 인로왕 보살의 인도로 모두 육신등공(육신등공)하여 왕생한 것이 우리 나라에 있어서 결사의 효시다. 9세기 초에는 신라의 불교 공인 과정에서 순교하였던 이차돈을 추모하기 위한 결사가 조직된 바 있으며, 9세기 말에는 왕실에서 <화엄경>의 사경과 전독을 위한 화엄결사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12세기 후반의 결사운동은 화엄종을 비롯한 여러 종파에서 다양하게 전개되었는데 개혁운동의 차원으로 승화시킨 가장 대표적인 것은 지눌스님이 개창하여, 뒤에 수선사(수선사)로 사액되었던 정혜결사(정혜결사)와 천태종 요세스님의 백련결사(백련결사)이다.
이 두 결사는 기존 불교계의 타락상과 모순에 대한 비판운동이라는 성격을 가지고 있었으며, 또한 지방의 지식층을 기반으로 했다는 점에서 지방불교적인 경향을 갖고 있었고, 아울러 불교개혁운동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결사운동의 정신은 오늘에도 이어지고 있다.
21세기 현대문명이 직면하고 있는 인간성 상실과 자연환경 파괴의 위기를 불교의 가르침으로 극복하자는 취지로 96년 결성된 백양사 참사람 수행결사를 비롯해 동산반야회가 1998년 염불결사의 전통을 이은 염불만일회 결사를 조직하여 활동하고 있다. 이밖에 생명존중의 불교적 가치관을 실현하기 위한 생태적 대중결사운동을 전개하고 있는 인드라망생명공동체를 비롯 선우도량 수련결사, 대원회의 대중결사, 전국불교신도회 정토결사, 생명나눔실천회의 100일결사, 도피안사 바라밀결사 등 사찰과 신행단체에서 다양한 형태의 결사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같은 결사 운동은 대중의 서원과 실천력을 바탕으로 공동체적 삶의 테두리 안에서 개인적 차원의 문제뿐 아니라 환경등 제반 사회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수행풍토를 쇄신하는 등 부처님의 가르침에 충실하게 다가가기 위한 적극적 신행의 한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힘차게 신나게 멋있게 염불합시다' 를 주제로 내건 제6차 전국염불만일회가 8월 6일 강원도 고성건봉사에서 제1차 성지대회 겸 염불만일회 결성식을 갖고 27년 5개월의 염불결사에 들어갔다. 8월 5일부터 7일까지 인원 1천5백여 명이 동참한 가운데 치뤄진 전국염불만일회는 경덕왕 17년(758) 발징화상이 처음 개설한 이래 조선시대와 일제시대를 거치며 건봉사에서만 5차례 열려온 한국불교 고유의 불교결사다.
이같은 결사 운동은 대중의 서원과 실천력을 바탕으로 공동체적 삶의 테두리 안에서 개인적 차원의 문제뿐 아니라 환경등 제반 사회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수행풍토를 쇄신하는 등 부처님의 가르침에 충실하게 다가가기 위한 적극적 신행의 한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 결사는 출가승단위주의 교단운영이 아니라 사부대증이 같이 참여하는 결집체라는 점이 특징이다.
염불결사!! 부처님 가르침에 충살하고자 결성
|
종교사회 운동의 한 형태라 할 수 있는 이 결사는 출가승단위주의 교단운영이 아니라 사부대중이 같이 참여하는 결집체라는 점이 특징이다.한국불교에서 결사운동은 교단이 미처 해내지 못했던 사원의 유지보수나 종교탄압에의 항거, 경제적 어려움 극복 등에 앞장 서 오면서 종교운동을 주도했다.
결사운동은 중국 동진시대 혜원스님이 여산의 동림사에서 맺은 백련결사(백련결사)를 그 시초로 보고 있다.
무량수불을 모시고 서방정토 왕생을 위한 염불수행을 위주로 하였는데, 이후 혜원의 백련결사는 이상적인 결사운동의 전형적인 시원으로 인식되었다.우리나라에서는 신라 통일기를 전후해 불교가 대중화되면서 결사운동이 점차 활발하게 왕실과 귀족의 지원에 의한 화엄결사가 조직되기도 하고, 아미타신앙과 미륵신앙에 바탕을 둔 염불결사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758년(경덕왕 17) 발징화상이 간성 건봉사에서 만일염불결사(만일념불결사)를 맺고 염불수행을 하다가 29년 만인 786년 31명이 인로왕 보살의 인도로 모두 육신등공(육신등공)하여 왕생한 것이 우리 나라에 있어서 결사의 효시다. 9세기 초에는 신라의 불교 공인 과정에서 순교하였던 이차돈을 추모하기 위한 결사가 조직된 바 있으며, 9세기 말에는 왕실에서 <화엄경>의 사경과 전독을 위한 화엄결사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12세기 후반의 결사운동은 화엄종을 비롯한 여러 종파에서 다양하게 전개되었는데 개혁운동의 차원으로 승화시킨 가장 대표적인 것은 지눌스님이 개창하여, 뒤에 수선사(수선사)로 사액되었던 정혜결사(정혜결사)와 천태종 요세스님의 백련결사(백련결사)이다.
이 두 결사는 기존 불교계의 타락상과 모순에 대한 비판운동이라는 성격을 가지고 있었으며, 또한 지방의 지식층을 기반으로 했다는 점에서 지방불교적인 경향을 갖고 있었고, 아울러 불교개혁운동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결사운동의 정신은 오늘에도 이어지고 있다.
21세기 현대문명이 직면하고 있는 인간성 상실과 자연환경 파괴의 위기를 불교의 가르침으로 극복하자는 취지로 96년 결성된 백양사 참사람 수행결사를 비롯해 동산반야회가 1998년 염불결사의 전통을 이은 염불만일회 결사를 조직하여 활동하고 있다. 이밖에 생명존중의 불교적 가치관을 실현하기 위한 생태적 대중결사운동을 전개하고 있는 인드라망생명공동체를 비롯 선우도량 수련결사, 대원회의 대중결사, 전국불교신도회 정토결사, 생명나눔실천회의 100일결사, 도피안사 바라밀결사 등 사찰과 신행단체에서 다양한 형태의 결사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같은 결사 운동은 대중의 서원과 실천력을 바탕으로 공동체적 삶의 테두리 안에서 개인적 차원의 문제뿐 아니라 환경등 제반 사회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수행풍토를 쇄신하는 등 부처님의 가르침에 충실하게 다가가기 위한 적극적 신행의 한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