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불만일회1999

본문 바로가기
동산반야회 동산불교대학


전법신행활동
염불만일회1999 Home > 전법신행활동 > 염불만일회1999

염불만일회1999

제1차년도(1998년) 제2차년도(1999년) 제3차년도(2000년) 제4차년도(2001년)
제5차년도(2002년) 제6차년도(2003년) 제7차년도(2004년) 제8차년도(2005년)
제9차년도(2006년) 제10차년도(2007년) 제11차년도(2008년) 제12차년도(2009년)
제13차년도(2010년) 제14차년도(2011년) 제15차년도(2012년) 제16차년도(2013년)

제2차년도(1999년)
27년 5개월 염불결사 2차년도 성지대회
제6차 전국염불만일회 1999년도(8월 2일~4일)


금강산 연봉(連峰)에 펼쳐진 염불 한마당

제6차 전국염불만일회에서는 2차년도 성지대회를 금강산 건봉사에서 8월 2일부터 4일까지 500여명의 염불행자들이 동참한 가운데 봉행하였다. 8월 2일 입재식을 시작으로 염불원에 모셔져 있는 석가세존 진신치아사리 5과를 친견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가수불자 머루와 다래가 함께하는 염불정진과 찬불가의 어우러짐은 행사의 분위기를 더욱 붇돋아 주었다.

8월 3일에는 금강산 연봉이 겹겹이 둘러싼 건봉사 인근 등공대에서 열린 아미타불춤 연화무와 건봉사 염불원에서 열린 관음무 헌공은 758년 1차 염불 결사 당시 아미타불의 가피를 입고 극락왕생한 31인의 염불행자들이 1000년의 시공을 초월하여 무애가와 어우러진 아미타 대동 한마당을 보여주는 듯했으며 이어 염불결사에 참여한 동참대중들이 지도법사의 목탁과 아미타불 염불 장단에 맞춰 대동한마당을 열고 1200여년전 신라땅 서라벌에서 무애가 장단에 아미타불 염불을 했던 원효스님의 모습을 재현했다.

또한 법장비구가 48대원을 세워 극락정토를 건설하듯 우리 염불자가 「육바라밀 육염불 생활」로 결정코 정토에 다시 태어나는 수기를 받고자 「염불 정토왕생보살 수기식」을 통해 건봉사에서 지심으로 발원하였으며 국전초대작가인 서예가 서봉 강영규씨와 제천 대승사의 주지 정암스님께서 희사하신 "나무아미타불" 불자를 이번 성지대회에 참석 정토극락왕생보살수기를 받은 모든 동참자에게 배포 가정에 불자 모시기 운동을 전개 평생염불 운동의 원력을 실천하고자 했다.
 
이어 강원도 황종국 고성군수가 참석하여 기념 축사의 시간도 가져 염불만일운동의 발상지인 고성군 소재 건봉사에서의 성지대회가 역사적으로 얼마나 뜻깊은 행사인가를 잘 나타내주었다.

김덕수 사물놀이패의 1시간여에 걸친 공연이 이어졌으며, 김덕수씨는 이번 공연과 관련 "사물놀이가 염불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밝혔다. 그리고 작년에 이어 권지홍 법사가 이끄는 장엄염불 의식팀의 대북, 징 등과 함께한 촛불의식과 나무아미타불 1만번 독송 철야정진은 환희와 감동의 절정을 이루었다.

성지대회 마지막날인 8월 4일 회향식날에는 뜻깊은 행사로 6·25 사변 당시 건봉사 인근지역에서 산화한 국군과 인민군들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천도재를 가졌다.

이날은 건봉사 관할 군사지역 수색대대 김기홍 중령이 자리를 함께하여 그 의미를 더욱 값지게 하였으며 김중령은 건봉사를 소재로한 "아! 금강산 건봉사"를 제목으로 자작시를 남기기도 하였다.

동산반야회 소개 | 대학 소개 | 대학원 소개 | 의식교육원 소개 | 개인정보 취급방침 | 서비스 이용약관
동산반야회 불교대학
주소 : (03150)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45-11 (수송동46-20)
전화 : 02)732-1206~8 / 팩스 02)732-1207 / Email : dongsan@dongsanbud.net

COPYRIGHT DONGSANBUD.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