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염불만일회

본문 바로가기
동산반야회 동산불교대학


전법신행활동
전국염불만일회 Home > 전법신행활동 > 전국염불만일회

전국염불만일회

 
염불만일회 행사 사진
12차염불만일회 11차염불만일회 10차염불만일회 봉축법요식 연등축제 연수원개원식
염불만일회
2009년도행사
염불만일회
2008년도행사
염불만일회
2007년도행사
봉축법요식
2009.5.2
연등축제
2009.4.26
연수원개원식
2009.4.12
 
제1차년도(1998년) 제2차년도(1999년) 제3차년도(2000년) 제4차년도(2001년)
제5차년도(2002년) 제6차년도(2003년) 제7차년도(2004년) 제8차년도(2005년)
제9차년도(2006년) 제10차년도(2007년) 제11차년도(2008년) 제12차년도(2009년)
제13차년도(2010년) 제14차년도(2011년) 제15차년도(2012년) 제16차년도(2013년)
제17차년도(2014년) 제18차년도(2015년) 제19차년도(2016년) 제20차년도(2017년)
제21차년도(2018년) 제22차년도(2019년)    
상기 메뉴탭을 클릭하시면 제6차 전국염불만일회의 매년행사 내용을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염불(念佛)은 불교신행(佛敎信行)의 근본

우리 불자들은 선악의 혼돈속에서 살고 있다. 악업도 짓고 선업도 지으며 살아간다. 지금 우라가 참으로 행하여야 할 것은 선행의 공덕을 쌓는 일이다. 복 짓는 선행의 공덕이야 말로 우리를 평온과 행복과 향상의 세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선업 공덕을 쌓으며 사는 방법이 바로 염불이다.

아미타불 48대원을 보면 "어떠한 중생이라도 지극한 신심과 환희심을 내어 열번만 아미타불의 이름을 부르는 이가 있으면 반드시 왕생하고 보리심을 내어 여러 가지 공덕을 닦고 지극한 마음으로 원을 세워 극락에 가서 나고자 하는 이는 내가 대중들과 함께가서 그를 영접하겠다." 하셨다. 염불하는 이를 극락으로 영접하겠다는 것은 아미타불의 서원(誓願)이요, 맹세이다. 반드시 그렇게 하겠다는 강한 의지가 깃들어 있는 것이다.

우리는 믿고 행해야한다. 그것이 불자의 신행의 근본인 염불이다.
 
 

염불만일회(念佛萬日會)의 역사와 경과보고

제1차
758년(경덕왕 17년)에 발징화상이 신도 정신·양순등과 염불만일회를 개설한 것이 효시
제2차
1802년(순조 2년)에 결성하여 1850년에 회향
제3차
1851년(철종 2년)에 벽오유총 스님이 결성하여 1863년에 회향
제4차
1881년 만화관준 스님이 결성하여 1908년에 회향
제5차
1908년에 금암의훈 스님이 개설하여 정진 회향
제6차
1998년 8월 김해장스님(건봉사주지), 한보광스님(동국대교수), 김재일법사(동산반야회장)등
공동대표와 3000불자의 동참으로 결성
 
1차년도 : 금강산 건봉사 불기2542년(1998년) 8월 5일~7일
제6차 염불만일결사 입재
 
2차년도 : 금강산 건봉사 불기2543년(1999년) 8월 2일~4일
제6차 염불만일결사 입재
 
3차년도 : 천봉산 대원사 불기2544년(2000년) 7월 16일~17일
제6차 염불만일회 3차년도 지방염불성지 입재
 
3차년도 : 금강산 건봉사 불기2544년(2000년) 10월 1일~2일
제6차 염불만일회 3차년도 건봉사 입재
 
4차년도 : 설악산 백담사 불기2545년(2001년) 8월 6일~8일
제6차 염불만일회 4차년도 백담사 입재
 
4차년도 : 금강산 건봉사 불기2545년(2001년) 10월 21일(일)
제6차 염불만일회 4차년도 건봉사 입재
 
5차년도 : 달마산 미황사 불기2546년(2002년) 8월 5일~7일
제6차 염불만일회 5차년도 미황사 입재
 
6차년도 : 팔공산 은해사 불기2547년(2003년) 7월 27일~29일
제6차 염불만일회 6차년도 은해사 입재
 
7차년도 : 한라산 법화사 불기2548년(2004년) 8월 1일~3일
제6차 염불만일회 7차년도 법화사 입재
 
8차년도 : 덕숭산 수덕사 불기2549년(2005년) 7월 31일~8월 2일
제6차 염불만일회 8차년도 수덕사 입재
 
9차년도 : 경주 불국사 불기2550년(2006년) 7월 30일~8월 1일
제6차 염불만일회 9차년도 불국사 입재
 
10차년도 : 만해마을·건봉사 불기2551년(2007년) 7월 29일~31일
제6차 염불만일회 10차년도 만해마을·건봉사 입재
 
11차년도 : 홍천 연화사 불기2552년(2008년) 7월 27일~29일
제6차 염불만일회 11차년도 연화사 입재
 
12차년도 : 해남 미황사 불기2553년(2009년) 7월 26일~28일
제6차 염불만일회 12차년도 미황사 입재
 
13차년도 : 만해마을·낙산사 불기2554년(2010년) 7월 30일~8월 1일
제6차 염불만일회 13차년도 만해마을 입재
 
14차년도 : 오대산 월정사 불기2555년(2011년) 8월 19일~8월 21일
제6차 염불만일회 14차년도 월정사 입재
 
15차년도 : 치악산 자연학습원·구룡사 불기2556년(2012년) 7월 28일~7월 30일
제6차 염불만일회 15차년도 치악산 자연학습원 입재
 
16차년도 : 금강산 건봉사 불기2557년(2013년) 7월 27일~7월 28일
제6차 염불만일회 16차년도 만해마을 입재
 
17차년도 : 치악산 자연학습원·구룡사 불기2558년(2014년) 8월 2일~8월 3일
제6차 염불만일회 17차년도 치악산 자연학습원 입재
 
18차년도 : 예산 금오산 향천사 불기2559년(2015년) 7월 25일~7월 26일
제6차 염불만일회 18차년도 예산 금오산 향천사 입재
 
19차년도 : 양산 영축산 통도사 불기2560년(2016년) 8월 19일~8월 21일
제6차 염불만일회 19차년도 양산 영축산 통도사 입재
 
20차년도 : 밀양 재악산 표충사 불기2561년(2017년) 7월 28일~7월 30일
제6차 염불만일회 20차년도 밀양 재악산 표충사 입재
 
21차년도 : 구례 지리산 화엄사 불기2562년(2018년) 7월 27일~7월 29일
제6차 염불만일회 21차년도 구례 지리산 화엄사 입재
 
22차년도 : 공주 태화산 마곡사 불기2563년(2019년) 7월 26일~7월 28일
제6차 염불만일회 22차년도 공주 태화산 마곡사 입재
 
 
 

동산반야회 소개 | 대학 소개 | 대학원 소개 | 의식교육원 소개 | 개인정보 취급방침 | 서비스 이용약관
동산반야회 불교대학
주소 : (03150)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45-11 (수송동46-20)
전화 : 02)732-1206~8 / 팩스 02)732-1207 / Email : dongsan@dongsanbud.net

COPYRIGHT DONGSANBUD.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