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 - 붓다동산746호
P. 15
지상강좌 ①
깨달음으로 가는 염불수행(1)
1. 염불수행의 연원
2. 경전에 나타난 염불수행
3. 현재 남북방 염불수행의 염실불제수행
4. 결론 향후 우리나라의 전망 不遠 金 烈 權
: - 염불관 사례
선 . 명상 지도법사
■ 들어가면서 무엇이 네 가지 길이냐? 어떤 수행자는 사마타
인류가 발견한 수행법은 수행대상에 일념으 를 먼저 하고 위빠싸나를 수행한다. 어떤 수행
로 집중하는 사마타 止(samatha, , 定)와 대상 자는 위빠싸나를 먼저 하고 사마타를 수행한
과 주체를 꿰뚫어 본성(涅槃, 寂滅)에 계합하는 다. 어떤 수행자는 사마타와 위빠싸나를 연결
위빠사나 觀 慧 수행(vipassana, , ) 두가지인 止 하면서 수행한다. 어떤 수행자는 위빠싸나를
觀이다. 사마타수행은 불법외의 다른 종교나 수행하는 가운데 그의 마음이 법에 대단히 고
수행단체(불교사마타와 타종교 사마타와는 다 양(高揚)된다. 이때 마음 가운데 고요함과 선정
름)에서도 수련하는데 대상에만 집중하므로 한 이 깃든다.”
시적 선정상태에만 머물게 된다. 반면 위빠사 현재 우리가 수행하는 염불은 소원성취나 천상
나수행은 불법 내에서만 발견되는 수행으로 탐 에 태어나거나 삼매위주로 수행하면 사마타수행
진치를 벗어나 생사해탈의 깨달음으로 가는 유 이고 사마타와 위빠사나를 겸해서 수행하면 정혜
일한 길이라고 부처님은 대념처경 에서도 설하 (定慧)쌍수의 사마타위빠사나[止觀]수행이 된다.
셨다. 본 논문에서는 경전상 염불은 참고로 보고 지
또한 깨달음으로 가는 모든 불법의 수행은 4 금 현재 각 나라에서 실천 수행하고 있는 내용을
갈래 길로 분류된다고 부처님은《앙굿따라 니까 살펴보고 현재 우리나라 상황에 도움 될 수 있는
야》행도장에서 이렇게 설하셨다.“구경각의 염불수행 위주로 살펴보겠다.
아라한은 4가지 길 중 하나에 의해 성취된다.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