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 - 붓다동산746호
P. 10

변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기 때문입니다.     점을 두어 소욕지족, 즉 탐욕과 집착 등 욕망으로
 세대갈등은 연령과 집단 간의 충돌이 이념과 가    최소화 하는 상태를 행복이라고 봅니다. 욕망이
치관의 충돌과 중첩돼 일어나며, 사람들은 이러한    줄어들수록 상대적으로 행복은 늘어나는 것이라
가치관의 격차에 곤혹스러워 합니다. 물론 모든     고 보는 것입니다. 불교적 관점에서 보면 생산, 거
세대가 동일한 생각을 하고 있을 것이라 기대하기    래, 소비 등의 경제행위는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
는 어렵습니다. 젊은 세대와 기성세대는 정반대의    라 올바른 생활(正命 : 정명)을 위한 수단이 되어
시각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젊은이 들은 미래    야 합니다. 그리고 불교행위의 궁극적인 목적은
의 희망, 꿈을 포기하고 기성세대는 퇴직 이후 생   욕망에 의한 소비가 아니라 개인과 사회, 나아가
존에 대한 부담감으로 불만이 가득합니다. 보수와    서 생태계 전체의 진정한 행복에 있습니다.
진보의 이념 갈들은 이미 오래된 사례입니다. 이     좀 어려운 이야기지만, 한편 붓다는 3가지 형태
러한 현재 시대에 나타난 상황 갈등해소를 위해서    의 욕망을 극복하면 완전한 해탈을 얻을 수 있다
는 불교 마인드가 필요한 시기라고 보여 집니다.    고 합니다“. 고통으로부터 완전히 자유스러워지려
갈등해소를 위한 상생행복이 필요합니다.         면 선행만으로 충분하지 않고 선행을 뛰어넘는 수
 경제행위의 세속적인 활동과 거래에 대한 불교     행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원할 만한 가치가 있
인의 자세는 정신적 부의 물질적 부가 합일될 때    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알 때 까지 무상(無
전정한 행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불교적 행복    常), 고 苦( ), 무아(無我) 에 주의를 기울여 관찰하
이란 정신적 차원과 물질적 안락함이 합일돼 삶의    는 것입니다. 어떤 것을 가지거나 어떤 상태로 될
균형과 조화를 추구할 때만이 가능한 것으로 물질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 어떤 것을
적 부만큼이나 정신적인 행복도 중요하다는 사실     가지거나 어떤 상태로 되었을 때 고통을 일으키지
을 깨닫게 합니다.                    않는 것이 있을까? 이 세 가지 질문을 자기 자신
 붓다는 어떻게 하면 고통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에게 계속 던져 보고 심사숙고 하여야 한다.”는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사성제(苦,集,滅,道)와 八正  것입니다.
道(팔정도)를 통해 항구적인 행복의 길을 제시 했    불교의 핵심 사상의 하나로‘남을 이롭게 하면
습니다. 먼저 행복의 개념은 서양과 동양의 접근    그 이로움이 결국 가기에게로 돌아온다.’는 自利
방식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利他(자리이타) 정신은 바로 상생 행복의 근간입
 서양에서의 행복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은 인간     니다. 현대 기업경영에서 고객만족을 이‘자리이
의 욕망은 무한한 것이라고 전재를 하고, 그 무한   타’하는 말보다 더 간결하고 정화하게 표현하기도
한 욕망을 어떻게 하면 많이 충족시킬 수 있는가    힘들 것입니다. 불교의‘자리이타’정신으로 결국
에 조건을 맞추고, 동시에 탐욕과 집착으로 부를    철저한 고객지향 정신입니다. 고객을 진정으로
증가 시켜서 무엇이든지 인간이 원하는 대로 손에    섬긴다는 마음으로 대하고, 그들에게 최대한의 이
넣을 수 있는 것으로 봅니다.              로움을 주겠다는 생각으로 회사를 경영하면 그 공
 반면에 불교에서는 물질보다 정신적인 면에 초     덕으로 그 회사는 무한히 번성하게 될 것입니다.

년 월호8 | 2017 1.2
   5   6   7   8   9   10   11   12   13   1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