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 - 붓다동산746호
P. 9
회원란
갈등의 시대는 이타행(利他行)으로
동산법사단장 혜일 임 원 호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나타나는 갈등은 여러 가 이러한 지식은 상호 교류하고 화통함으로서 서
지로 말 할 수 있습니다. 흔히 갈등의 현상을 양극 로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차이와 다름을 이해하
화라 하지만 소득 불균형에 따른 경제적 양극화만 고 상대가 가지고 있는 것들을 존중함으로서 해결
말하는 것은 충분하다고 할 수 없습니다. 한 사회 해 나갈 수 있습니다.
의 갈등 현상은 정치, 경제, 문화, 세대갈등, 종교 계층 간의 갈등은 소외 계층 지원과 기부 문화
이념 등 수많은 인간 삶의 차원에서 나타나고 있기 확산을 통한 계층 갈등 해소에 앞장서 나가야 합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우리 모두는 갈등의 시대에 니다. 특히 종교는 사람들이 원하는 것과 계층 및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갈등으로 인해 이익집단 간의 갈등을 끄집어내고 해결하는 것이
조직이나 사회에 집단 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이념 필요합니다.
과 지역 간 계층 간에 벌어지고 있는 갈등, 단절, “금 수저 . 흙 수저”라는 신조어는 양극화의 단
좌절, 반감, 대립이 이대로 간다면 공동체를 무너 면을 보여준 계층 간 갈등이 부산물입니다. 특히
뜨릴 수도 있다는 우려감이 들기도 합니다. 하위 계층에서 중간층으로 그 다음은 잘사는 층으
이념갈등을 보면 각자가 가지고 있는 논리나 원 로 이동하는 것이 자유롭게 이뤄질 수 있도록 근
리에 대한 갈등으로 주로 지식과 연계된 측면이 면함과 성실을 종교적으로 주시 시켜야 합니다.
큽니다. 민족 내부의 이념갈등이 있었다는 말은 세대갈등으로 보면 지금 우리사회는 혹독한 세
사람 개개인 마다 갖고 싶은 물건과 먹고 싶은 음 대 갈등을 겪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더
식이 다르듯이 서로 추구하는 가치가 다르기 때문 욱이 우리 사회처럼 짧은 시간에 급격한 변화를 겪
에 서로 자신의 이념을 주장하느라 서로간의 갈등 은 곳에서는 세대 간의 의식 차가 더 클 수밖에 없
이 생기는 것을 이념 갈등이라고 합니다. 습니다. 세상이 변하고 사람이 변함에 따라 생각도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