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 - 붓다동산762호
P. 26
대의 석불이라고 보면 틀림없습니다. 오래된 다 로 고운 단청 그 아름다운 풍경들을 보고 사찰
포식 건물로 명부전이 유일합니다. 10분의 시왕 안내 자료를 읽느라 눈이 침침할 무렵에 부는
을 모신곳이며 명부전의 시왕, 산신, 칠성신은 산바람이 시원했습니다. 함께 손잡고 이야기도
도교에서 왔습니다. 우리 민속 신앙에서 필요가 많이 하며 다녔던 영숙 도반님이 싱긋이 웃으
있어서 전통적으로 받아들였습니다. 며 법당에 불전을 넣고 나서 “이생에서 만난 인
연 저 생에도 꼭 만나지길 기원합니다” 하며 약
사전 부처님께 삼배를 드리시니 나 또한 따라하
며, “감사합니다” 하고 인사드렸습니다.
고운사를 참배하
고, 해탈문 나설 때
쯤 문 앞에서 콩을
까시던 할머니에게
연수전의 만세문
세 봉지를 사서 배낭
연수전의 만세문은 솟을대문입니다. 영조 20 에 담는데, “복 받으
년 왕실에서 태조에서 영조에 이르는 왕족의 계 라구” 덕담까지 하십
소담스런 가을 전경 한 컷!
보를 보관하고 왕실이 만세토록 이어지기를 바 니다.
라고, 임금의 장수를 기원하면서 연수전을 세웠 아침 나절에는 빨갛던 해가 석양 꽃처럼 지
습니다 사찰 경내에 둠으로써 사찰은 왕실 권위 는 저녁 나절에는 몸도 노곤해졌습니다. 차창
의 보호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조선시대의 억 밖으로 지나는 경북 들녘의 누런 곡식들을 보면
불숭유의 유교사회에서 절이 폐사되는 위기에 서 내 고향 파주 들녘을 생각했습니다. 그러다
서 벗어날 수 있었습니다 현판에는 광무년에 중 살짝 잠이 들었는지 꿈속이었습니다. “그렇게
수한 것으로 기록이 보이는데, 고종이 환구단에 고단했어? 다왔어” 하고 옆 도반이 저를 깨웠습
서 황제 즉위식을 하면서 이건물도 대대적인 보 니다 먼 길 다녀 오는 동안의 모든 인연들께 감
수를 한 것으로 보입니다. 연수전은 절 안에 있 사하는 마음이었습니다. 나무아미타불 관세음
는 유교적인 공간이기 때문에 담장을 쌓아서 분 보살….
리한 것입니다. 연수전의 벽화는 고종과 명성왕 어느새 속절 없이 반년이 지나면서 온세상
후의 만수무강을 기리기 위해서 조성되었다고 모든 이들의 생활은 낮아지고 회복해야 할 일상
합니다. 공양간으로 가는 길에 둥그런 돌계단이 들은 한여름인데도 살얼음판을 걷고 있습니다.
있습니다. 서둘지 말고 찬찬히 걸어다니라는 뜻 뒤로 미뤄진 동산 염불만일회 때에는 좀 더 안
으로 설치한 것이겠지요. 전각마다 자연석의 낮 정되고 나아지기를 온 마음으로 간절히 바라면
은 돌계단들이 많아 보였던 아름다운 도량이었 서. 희망의 공부도 할 겸 조심스레 먼저 간 발자
습니다. 천년의 세월 비바람에 퇴색되어도 그대 취들을 조금 찾아보았습니다.
24 2020.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