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 - 붓다동산748호
P. 27

으로 전환되도록 하기 위(patibha-ga-nimitta,)  (果)를 반조하고 검토하는 것이다. 수행자는 마
함이다. 닮은 표상은 완전한 집중 또는 선정으로          음챙김 하여 호흡하는 동안 성스러운 과(果)를
이끈다. 고정은 아나빠나삿띠의 제4단계에 관련           반조한다.
된다.                                  이 여덟 과정 중 마지막 네 과정은 직관적인
 관찰5) (sallakkhan.a-)               통찰과 성스러운 도와 과(ariya-magga-
 수행자는 마음과 물질을 관찰하고, 그것들을            를phala) 다룬 것이다.
무상, 고, 무아로 자각하고자 통찰력을 계발한            셋째, 넷째 과정인 접촉과 고정은 몸의 형성을
다. 이것은 제5단계에서 마지막 단계까지 적용           고요하게 하는 것과 직접 관련된다. 첫 번째 과
된다.                                 정인 수식(數息)은 단순히 아나빠나삿띠 제1단계
 전환6) (vivat.t.ana-)                와 제2단계의 길고 짧은 호흡에 마음챙김을 확
                                    립하는 것이다.

 이것은 오염 또는 불순으로부터 벗어나고 그것            두 번째 과정인 상수(相數)는 각각의 들숨과
들을 제거하고 그 대신 선한 품성을 얻고자 하는          날숨에 마음챙김을 중단 없이 계속 이어나가는
방법이다. 평정 또는 사라짐(離貪, 으로vira-ga)      것을 의미한다. 아나빠나삿띠 제3단계와 제4단
시작하여 성스러운 도(道)의 성취로 바로 이어진          계의 성공은 제1단계와 제2단계의 정확한 이해
다. 아나빠나삿띠의 제13단계와 제16단계에 적          와 바른 수행에 달렸다. 따라서 아나빠나삿띠의
용된다.                                제1단계부터 제4단계까지가 닙바나에 이르는 여
 정화7) (parisuddhi)                  덟 단계의 과정 중 앞의 네 과정과 어떻게 관련
 번뇌를 무너뜨려 성스러운 과(果)를 얻는 것이          되어 있는가를 다시 한번 자세하게 고찰하고 설
다. 이것은 흔히“해탈(vimutti)”또는“번뇌의        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근절에 의한 해탈 ”로 알(samuccheda-vimutti)
려져 있다. 이것은 마지막 제16단계에 따라 아나          수식 數息 의 방법2. ( , gan.ana-)
빠나삿띠를 계발한 결과이다.                      아나빠나삿띠로 선정에 이르는 그 첫 번째 과
 반조8) (pat.ipassana-)               정인 수식(數息)은 두 가지 목적으로 쓰인다. 첫
 오염 또는 족쇄의 파괴와 그로 인해 얻어진 과          째, 호흡의 길이를 발견하려고 이용한다. 둘째,
                                    마음이 호흡에서 벗어나 방황하는 것을 막으려
                                    고 이용한다. 더욱 효과적으로 수련하려면 수식

                                    | 25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