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 - 붓다동산746호
P. 30

과 3책이 발간됨으로써 삼국유사연구회 발족 37 Ⅶ. 삼국유사를 이해하는 방법
년 만에 완간을 이루었다.
                                삼국유사를 읽고 이해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Ⅵ. 삼국유사를 통해 무엇을 배울 수 있나?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쭉 읽어내려 가도 무방하
                            나 지루함을 덜고 좀 더 깊은 감동을 느끼려면
삼국시대 역사를 전하고 있는 김부식의『삼국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방법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
기』는 중요한 사서이지만 편자의 유교사관에 의 서 살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해 불교관련 사항이 많이 누락되었다.『삼국유사』
는 이런 면을 보완할 수 있는 사서이다. 따라서 삼 ① 먼저 일연이 저술한 편재에 따라 읽는 방법
국의 문화를 대변하는 문화사의 보고(寶庫)이다. 이다.
일연은 삼국유사를 편찬하면서 불교사관을 갖 삼국유사는 왕력, 기이, 흥법, 탑상, 의해, 신
고 고려 사회가 겪고 있는 어려움을 극복하려 하 주, 감통, 피은, 효선으로 나눠진다. 제목이 시사
였다. 고려 초에서 중기로 이어지면서 불교는 점 하는 것처럼 국가적인 면과 불교적인 내용을 내
점 민중과 멀어지고 문벌귀족을 대변하기 시작 용을 따라 분류한 것이다.
하였다. 그리고 년1170 무신의 난 이후 무신정권 ② 다음은 국가와 시대적 흐름에 따라 이해하
과의 알력과 타협을 통해 불교계 기득권을 유지 는 방법이다.
하려는 경향이 강해졌다.               삼국유사에 전해지는 내용은 고구려, 백제, 신
여기에 년1231 몽고 침략 이후 무너진 민족적 라, 통일신라, 후삼국, 고려에 관련된 내용들이
자존감으로 고려 민중은 총체적 난국에 빠졌다. 다. 이것을 국가적으로 분류하여 그 내용을 살펴
이런 분위기 속에서 일연은 국난을 당해 민족적 보면 각 국가의 불교전래와 유통과 발전 그리고
가치관을 정립하여 민족의 우수성과 자존감을 회 쇠퇴하는 과정이 나타난다.
복하려 하였다. 불교적 가치에 입각한 포교와 신 ③ 다음은 불교적 내용에 따라 이해하는 방법
행활동을 정리함으로써 불교계의 모습을 세상에 이다.
알리려 하였다. 일연은 유사를 편찬하면서 불교 불교교리와 사상, 신행, 그리고 사회적 관계로
를 수행하는 수행자의 구도와 사회적 실천 자세, 나누어 보면 삼국시대의 불교를 조망할 수 있다.
불교를 믿는 지도자의 국가관, 그리고 불교를 믿 ④ 마지막으로 유적을 통한 이해이다.
는 신행자의 믿음 등을 정리하였고 그런 불교사 삼국유사에 전해지는 내용은 대부분 경주를 중
상을 중심으로 국민들의 삶과 정신을 이끌었다. 심으로 이루어진 내용이다. 고구려와 백제 관련
따라서 삼국유사를 통해 우리는 그런 일연의 유적도 존재하므로 그런 지역적으로 나누어 읽
가치관이 과거의 유물이 아니고 현재 우리사회 다보면 그 지역에서 발전한 불교의 모습을 읽을
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정신적 가르침임을 수 있다.
알 수 있다.                                   나무아미타불
                                                       동산불교대학·대학원

                                                       DongSan Buddhist Academy

년 월호28 | 2017 1.2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