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 - 붓다동산746호
P. 29
소장하였는데(일인들은 흔히 今西本이라 칭한 이렇게 시작된 삼국유사 연구는 국내 학자들의
다), 일본의 덴리대학(天理大學) 도서관의 귀중 관심을 받았고, 시중에 널리 알리기 위한 사업으
본으로 소장되어 있다. 로 대중적인 발간이 이어졌다. 년1973 민족문화
5) 년1940 이후 석남본 및 송은본을 모사한 필 추진회가 서울대학교 소장본을 반으로 축소하여
사본이 고려대 중앙도서관에 소장. 영인하였으며, 년1983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에서 만송문고본(晩松文庫本)을 축소하여 영인
Ⅳ. 삼국유사 체제에 대한 의견 하였다. 삼국유사는 년1984 동국대학교 출판부
가 한국에서 저술된 문헌을 수집 발간한『한국불
쪾최남선 : 삼국사기와 대비하여 기이편은 國故 교전서』제6책에 수록되었다.
적인 부분, 흥법 이하 편목은 불교사. 이와 같은 삼국유사 발간과 함께 번역사업도
쪾김영태 : 최남선의 견해를 수용, 불교사서이며 진행되었다. 년1946 사서연역회가 번역한 삼국
불교문화사의 성격을 지님. 유사가 고려문화사에서 발간되었으며, 년1954
쪾홍윤식 : 기이편은 객관편이고 흥법 이하 편목 고전연역회의 이종렬이 책임 번역한『완역삼국
은 불교신앙의례를 체계적으로 서술. 유사』가 학우사에서 발간되었다. 뒤이어 년1956
쪾정구복 : 삼국유사 체제가 왕력, 기이편 등 국 이병도가 번역하고 각주를 첨가한『삼국유사』가
가로 시작하여 마지막 효선편에서 사회의 기초 동국문화사에서 발간되었다.
단위인 가정의 문제를 다룬 종교와 신앙중심의 북한에서도 유사에 대한 관심으로 년1960 조
불교사. 선과학원이 번역한『삼국유사』가 발간되었다.
쪾황패강 : 유사의 내용이 사료는 될 수 있어도 삼국유사는 일본 학자들에게도 관심의 대상이
그 자체가 史는 아니다. 설화의 선별과 배열을 었다. 년1904 도쿄대학에서 출판한 이래 1926
통한 상호 유기적 관계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신 년 교토대학 교수 이미니시 류(今西龍)가 년1916
라의 불타상을 형성. 얻은 순암순택본을 저본으로 교토대학에서『삼
국유사』가 영인되었다. 그리고 그의 제자들에 의
Ⅴ. 삼국유사 연구 해 삼국유사가 연구되었다. 년1958 이미니시 류
의 제자인 도지샤(同志社)대학 미시나 아키히테
한국에서 삼국유사 연구는 년1904 최남선이 (三品彰英)가‘삼국유사연구회’를 조직하여 본격
동경대 문과대학 사지총서로 간행된 삼국유사를 적으로 연구하였다. 년1975 와카야마(和歌山)
구입하면서 시작되었다.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 대학 교수 무라카미 요시오(村上四男)가‘삼국유
고 1927년‘삼국유사해제’를 발표하였다. 그 후 사연구회’를 계승하여 지속한 결과『삼국유사고
단군과 한국역사를 복원한다는 생각으로 탐구한 증』상권을 발간되었다. 그리고 년1979 중권 발
후 1946년『삼국유사』발간하였다. 이 책은 간, 년1994 하권 책1 , 그리고 년1995 하권 2책
년1954 증보본 발간되었다.
|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