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 - 붓다동산746호
P. 27

생. 속성은 김씨, 이름은 견명(見明). 아버지는        년[1278 그동안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역대연표
지방 향리 출신인 언필(彦弼)이다. 9세 년1214      를 인흥사에서 간행-삼국유사 왕력편의 토대를 마련]
광주 무량사(無量寺)에 들어가 공부하기 시작.14
세 년1219 설악산 진전사(陳田寺)에서 대웅장로        세76 년1281 충렬왕이 동정군(東征軍)을 격려
(大雄長老)에게 구족계를 받았다.                하기 위하여 경주에 왔을 때 부름을 받고, 이 인
 2. 승과와 오도                        연으로 다음해에 개경 광명사(廣明寺)에 머뭄.
 세22 년 고종1227 ( 14) 선불장(選佛場)에 나아   세78 년1283 3월 국존(國尊)으로 책봉되고,
가 상상과(上上科)에 급제. 이후 포산(경주 근처       원경충조(圓經沖照)라는 호를 받았으나 노모의
현풍현 비슬산)의 보당암(寶幢庵)에 주석하며 禪        봉양을 위해 고향으로 돌아왔다.
觀을 닦음. 세32 년1237 삼중대사(三重大師)가       세79 년1284 인각사(麟角寺)에 주석하자 왕실
되고, 세41 년1246 선사(禪師)가 되었다.        에서 전답 백여 결을 하사
 3. 중앙활동                           세84 년1289 7월 왕에게 올리는 글을 남기고
 세44 년1249 최씨 무인정권과 밀접한 유대를       입적. 이후 보각이라는 시호를 받음. 년 충1295 (
가지고 있던 정안(鄭晏)의 초청으로 남해(南海)        렬 21) 혼구가 지은 행장에 의거해서 민지가 짓
정림사(定林社)에 머뭄.                     고 왕희지 글씨를 집자해서‘고려국화산조계종
 세46 년1251 남해분사(南海分司)에서의 작업       인각사가지산하보각국존비명’을 인각사에 세움.
에 참가, 대장경 완성 년(1236 시작).
 세54 년1259 충렬왕에 의해 대선사가 되었고        Ⅲ. 삼국유사 저술과 발간 과정
이후 국존에 봉해져 불교계를 이끔.
 세56 년 원종1261 ( 2) 원종의 명에 따라 강화도   1. 저술 이유
에 초청되어 선월사(禪月社)에 머뭄.               기이편 서문 - 대체로 옛날 성인들은 禮와 樂
 세63 년1268 왕명에 의해 운해사(雲海社)에서      으로써 나라를 일으키고 仁과 義로 가르침을 베
대장낙성회(大藏落成會)를 주관하고, 년1274 11      풀되 괴이함, 완력, 난동, 귀신에 대해서는 말하
년간 지낸 비슬산 인홍사(仁弘社)를 중수한 후         지 않는다. 그러나 제왕이 장차 일어날 때에는
왕의 사액에 따라 인흥사(仁興社)로 개명.           하늘의 명령을 받고 신표를 받아 반드시 보통 사
 4. 유사 집필과 국존 책봉                  람과 다른 점이 있었다. 그런 후에라야 큰 변화
 세72 년 충렬왕1277 ( 3)부터 충렬왕의 명에 따   를 타고 국가의 권력을 잡아 천자의 대업을 이룩
라 운문사(雲門寺)에 머무르게 되었는데, 이곳에        할 수 있는 것이다.
서 삼국유사(三國遺事)의 집필에 착수.              (중략) 그러니 삼국의 시조도 모두 신비스런
                                  이적으로부터 나왔다는 것이 어찌 괴이할 것이
                                  있으랴.
                                   ∴ 삼국유사는 왕력, 기이는 국가사의 신이를

                                  | 25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