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 - 붓다동산746호
P. 26

지상강좌 ②

삼국유사란

                                대김학경원 삼집국교유수사

 Ⅰ. 삼국유사의 내용                     4. 탑상편 - 사기(寺記)와 불탑, 불상, 불전 등
                                의 이름난 불교문화 유산과 그에 관련된 기적적
 5권 2책 9편목. 왕력, 기이는 독창적인 구성었다.  영험담, 신앙 등의 기록 편30 .
 1. 왕력편 - 왕력은 연표이다.“신라시조 혁거      5. 의해편 - 불법[義]을 풀어내는[解] 편목, 흥
세”로부터“고려태조의 통일”까지 신라, 고구려,      법과 탑상으로 배출된 고승들의 행적을 통해 신
백제 가락, 그리고 후삼국의 왕력을 중국과 함께      앙심 고취 편14 .
5단의 도표를 나타낸다.                    6. 신주편 - 밀교(密敎)의 이적(異蹟)과 이승
 2. 기이편 - 제1에 고조선 이하 삼한(三韓)·    (異僧)들의 전기 편3 .
부여(扶餘)·고구려와 통일 이전의 신라 등 여러       7. 감통편 - 일반 신도의 영검이나 靈異 등을
고대 국가의 흥망 및 신화·전설·신앙 등에 관       다룬 10편의 설화.
한 遺事를 기록. 제2에는 통일신라시대 문무왕        8. 피은편 - 높은 경지에 도달하여 은둔한 逸
이후 신라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까지의 신라 왕       僧들의 이적을 다룬 10편의 설화.
조 기사와 백제·후백제 및 가락국에 관한 약간        9. 효선편 - 부모에 대한 효와 불교적 선 5편
의 유사를 다룬다.                      을 서술. 유사만의 독특한 편목.
 왕력편과 기이편을 합치면 삼국유사의 반을 차
지, 삼국사기에 실려 있지 않은 것도 있어서 역       Ⅱ. 작자 일연
사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3. 흥법편 - 삼국의 불교 전래, 수용 및 고승     1. 출생 및 출가
들에 관한 행적을 서술한 7편의 글.             희종 년 년2 (1206 ) 경상북도 경산시 동부동 출

년 월호24 | 2017 1.2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