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 - 붓다동산744호
P. 5
석가모니부처님께서 녹야원에서 다섯 비구에 찰),‘정사유’는 올바른 생각·사유,‘정어’는
게 설한 최초의 설법을 초전법륜(初轉法輪)이라 올바른 말,‘정업’은 올바른 행위,‘정명’은 올
고 하지요. 즉, 고집멸도(苦集滅道)의 사성제입 바른 삶·생활·생계,‘정정진’은 올바른 노
니다. 사성제가운데 도제가 바로 부처님의 수행 력·정진,‘정념’은 올바른 주의로 자각(바른
법을 가리키는 팔정도(八正道)입니다. 부처님이 Sati·알아차림),‘정정’은 올바른 선정(바른
깨달음에 이른 수행법이 바로 팔정도이기 때문 ·삼매 입니다Samadhi ) . 이 가운데 정어·정
에 우리가 부처님의 가르침에 다가가려면 팔정 업·정명은 계정혜(戒定慧)의‘계’에 해당하고,
도수행이 가장 바른 길입니다. 불교가 수행의 종 정정진·정념·정정은‘정’에 해당하며, 정견·
교임은 이 까닭입니다. 정사유는‘혜’에 해당하는 것입니다.(정정진은
원래 초기경전이 전하는 부처님의 최초의 가르 계정혜에 공통되는 것이라고 설하기도 합니다.)
침을 실천하는 방법으로 팔정도를 포함하여 37 이중표 전남대 철학과 교수는‘열반이란 무엇
도품(道品)이 있지만 여기서는 사성제의 기본이 인가?’라는 글에서“부처님께서 우리에게 가르
되는 수행법인 팔정도에 중점을 두어 말하고자 친 열반은, 초월적 신비의 세계가 아니라, 허위
합니다. 의 생사를 벗어나 본래 생사가 없는 무아의 실상
을 깨닫고 살아가는 환멸문(還滅門)의 도성제,
{37도품은 팔정도 외에도 사념처(四念處), 사정근(四 즉 팔정도를 실천함으로써 얻는 행복한 삶을 의
正勤), 사신족(四神足), 오근(五根), 오력(五力), 칠각지 미한다.”라고 설명하는데, 팔정도의 중요성을 웅
(七覺支) 등 37가지입니다. 이 가운데 팔정도 이외의 변하고 있습니다.
수행법은 모두 팔정도를 돕는 수행법입니다. 예를 들어 3) 정견에 대하여
‘사정근’을 보더라도 ① 과거에 행한 부정적 행동을 팔정도에서 제일 중요한 것이‘정견’입니다. 정
버림, ② 미래에 행할 지도 모르는 부정적 행동을 방지 견은 사성제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합니
함, ③ 현재의 긍정적 성품들과 과거의 건전한 행동을 다. 정견은 불교수행자의 출발점이자 목표이며 방
강화함, ④ 미래에 건전한 행동을 할 기반을 쌓음 등을 향입니다. 정견이 올바로 서면 이는 바로 깨달음
말하는 것으로써 팔정도로 이끄는 수행법이지요.} 입니다. 팔정도의 맨 앞에 정견을 내세운 것은 그
까닭입니다. 그러므로 나머지는 정견을 올바로 세
2) 팔정도 우기 위한 실천덕목들입니다. 그래서 계를 닦고,
‘팔정도’는 ① 정견(正見), ② 정사유(正思惟), 정에 바르게 들어서야 비로소 혜에 이르기 때문에
③ 정어(正語), ④ 정업(正業), ⑤ 정명(正命), ⑥ 계정혜의 삼학(三學)이라고 일컫는 것이지요.
정정진(正精進), ⑦정념(正念), ⑧ 정정(正定) 등 우리가 오계(五戒)를 지키고 십업(十業)을 멀리
여덟 가지 수행자의 올바른 실천덕목이자 생활 하여 선업(善業)을 닦기도 어려운데, 더욱이 올
태도를 말합니다. 바른 정(정념)에 들어 혜(정견)를 깨닫기는 여간
‘정견’은 올바른 견해(바른 이해·관찰·통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