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 - 붓다동산737호
P. 13
회원란
“화”좀 안내고 살 수 없을까
금구 정 진 웅대법학사원
우리의 마음은 밭이다。
그 안에는 기쁨, 사랑, 즐거움, 희망과 같은 긍정의 씨앗이 있는가 하면
미움, 절망, 좌절, 시기 두려움 등과 같은 부정의 씨앗이 있다。
어떤 씨앗에 물을 주어 꽃을 피울지는 자신의 의지에 달렸다。
틱낫한- (Tkich Nhat Hanh 1926~)
베트남의 승려이자 시인. 평화운동가. 열여섯 면 늘 찡그리고 있는 편인가? 자신이 전자에만
의 나이에 불가에 입문하여 평생 구도자의 길을 속한다고 자신할 수는 없다. 늘 웃고 있다가도
걷고 있는 스님의 저서「화(anger)」를 읽고 우리 상대방의 말 한마디에 불쑥 솟는‘화’를 부인할
범부 중생이 진정으로‘행’을 통하여 탐 . 진 .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화’를
치 삼독을 어떻게 떨쳐내야 하는가를 다시 한 번 내는 걸까? 무엇이 우리를‘화’나게 하는 걸까?
되새기는 기회를 가졌으면 하는 바램에서 그의 부처의 가르침에 따르면 시기, 절망, 미움, 두
저서에 있는 내용을 옮겨 본다. 려움 등은 모두 우리 마음을 고통스럽게 하는 독
이라 했다. 그리고 이 독들을 하나로 묶어‘화
마음의 평화를 얻는 지혜 라(anger)' 했다. 마음속에서 ’화‘를 해독하지
못하면 우리는 절대로 행복해질 수 없다.
사람은 누구나 행복하기 위해 태어났다. 그러 ‘화’는 평상시 우리 마음속에 숨겨져 있다. 그
나 실제로 행복을 만끽하면서 사는 사람은 드물 러다 외부로부터 자극을 받으면 갑작스레 마음
다. 행복한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은 표정에서 한가득 펴진다. 잔뜩‘화’가 나있는 사람이 있다
알아볼 수 있다. 행복한 사람은 늘 미소가 있고, 고 가정해보자. 그의 말은 아주 신랄하며 상대방
그렇지 못한 사람은 얼굴을 찌푸린다. 여기서 한 을 공격하는 말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가 쏟아내
번 자문해보자. 나는 늘 웃고 있는 편인가, 아니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