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 - 붓다동산742호
P. 11

선조들의 생활상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게 한다.    의 불교, 한국의 토속신앙이 함께 어우러진 복합
특히 한옥마을 위쪽에 위치한 타임캡슐 광장은      신앙의 공간이인 셈이다. 일설에 의하면 와룡 묘
서울정도 6백년을 기념해 년1994 당시 최병렬    는 조선조 말 고종황제의 후궁 엄 귀비에 의해
서울 시장이 서울의 생활, 풍습, 문화, 예술 등을  세워졌다는 설이 있으나 확실치는 않다.
상징하는 물품 600여점을 선정하여 캡슐에 넣어     와룡 묘를 지나 서쪽으로 걸어 남산 순환도로
보존한 것으로 한양천도 년의1000 해인 년2394  끝자락에 있는 삼순이 계단(MBC TV 방영 드라
에 개봉할 예정이라 하니 앞으로 년의400 긴 세   마<내 이름은 김삼순>의 엔딩 장소)을 가파르게
월동안 캄캄한 캡슐 속에 갇힌 소장품에서 우리     올라 안중근 의사 기념관에 이르러서야 겨우 한
들의 모습이 후손들에게 공개될 것을 생각하니      숨을 돌린다. 기념관 마당에는 안중근 의사 동상
정신이 아찔해진다.                    과 안 의사의 친필 휘호가 새겨진 시비가 있다.
 한옥마을 후문과 서울시별관(구 국정원)을 연     見利思義 見危授命(견이사의 견위수명)“이로움
결하는 1호 터널 앞 구름다리를 지나 남산 순환    을 보거든 정의를 생각하고, 위태로움을 보거든
                              목숨을 바쳐라”구절을 보니 조국광복을 위해 목
도로로 접어든다. 서쪽 방향으로 10여분을 걸어    숨을 바친 안 의사의 애국충정이 새삼 가슴을 뭉
가니 木覓山 臥龍廟(목멱산 와룡묘)라는 현판이     클하게 한다.
나타난다. 목멱산은 남산의 옛 이름이고 와룡 묘     년1970 개관한 안 의사 전시관은 년에2010
는 중국 삼국시대에 삼고초려로 유명한 유비를      재개관 된 곳으로 기념관이 12개동으로 바뀌었
도와 촉한을 세운 군산지략가 제갈 공명(일명 제    다. 이유는 안중근 의사의 후광에 가려진 단지
갈량)의 호 와룡에서 유래 된 것이다. 이곳에는    동맹(斷指同盟) 인12 광복군 동지들의 뜻을 기
제갈 량의 좌상(높이2m)과 관우를 신격화한 관    리고 안중근 의사를 재조명키 위한 의미라고 한
성제군이 모셔져 있고 층계를 더 올라가면 단군     다. 이곳에는 안 의사의 황해도 해주 출생에서
할아버지를 모신 성전과 산신, 칠성, 독성을 모    부터 순국한 중국의 뤼순까지의 행적이 고스란
신 삼성각이 갖추어져 있다. 중국의 도교, 인도    히 담겨져 있어 역사의 슬픔 비극의 정황을 느
                              끼게 한다.
                               안 의사의 기념관을 뒤로하고 가파른 성곽 로
                              를 따라 숨 가쁘게 걷다보니 어느덧 남산정상(서
                              울타워, 팔각정)에 다다른다. 남산은 외국인 관
                              광객이 선정한 서울의 가장 매력적인 장소라 그
                              런지 내국인보다 외국인들이 더 많은 것 같다.
                               남산서울타워 전망대 난간에 채워진‘사랑의
                              자물쇠’는 군대 간 친구와의 사랑이 변치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부터 갓 사랑을 시작한 연인들

                              |9
   6   7   8   9   10   11   12   13   14   1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