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 - 붓다동산742호
P. 19
년1974 월12 일28 경상남도기념물 제17호로 웃옷)은 임진왜란(壬辰倭亂)때 의승병대장(義僧
지정되었다.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사명대사(四 兵大將)으로서 구국(救國)을 위하여 헌신(獻身)
溟大師)의 충혼을 기리기 위하여 국가에서 명명한 한 사명대사(四溟大師) 임유정(任惟政) 스님이
절이다. 654년(태종무열왕 년1 ) 원효대사가 창건 친히 입으시던 복식(服飾)이다. 재질(材質)은 적
하여 죽림사(竹林寺)라 하였고, 829년(흥덕왕 4 조에 무늬가 있는 비단으로 자연부식(自然腐蝕)
년) 인도의 승려 황면선사(黃面禪師)가 현재의 자 과 탈색(脫色), 원형 손결(損缺) 등이 심하여
리에 중창하여 영정사(靈井寺)라 이름을 고치고, 년에1983 문화재관리국(文化財管理局)에서 유물
3층 석탑을 세워 부처님의 진신사리(眞身舍利)를 의 원형을 일부 보수(補修)하고 오물(汚物)을 제
봉안한 것으로 전한다. 신라 진성여왕 때에는 보 거하는 한편 탈취(脫臭)와 훈증(薰蒸)처리
우국사(普佑國師)가 한국 제일의 선수행(禪修行) <대사가 입으셨던 금란가사>등 특수 보존처리
사찰로 만들었으며, 년 충렬왕1286 ( 12년)에는《삼 (保存處理)를하 였다. 의상(衣裳)의 규격은 가사
국유사》의 저자인 일연(一然)국사가 여1000 명의 (袈娑)와 가로 260cm, 세로 이며80cm 장삼(長
승려를 모아 불법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衫 은 기장 길이 이다)
년 헌종1839 ( 년3 ) 사명대사의 법손(法孫)인 월 103cm, 122cm .
파선사(月坡禪師)가 사명대사의 고향인 무안면
(武安面)에 그의 충혼을 기리기 위해 세워져 있 추이 : 우연한 기회에 사명대사님의 자료를 다시 접
던 표충사(表忠祠)를 이 절로 옮기면서 절 이름 하면서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대사님의 많은 행적을
도 표충사라 고치게 되었다. 이보다 앞서 년1715 한정된 지면 사정으로 말미암아 축소 소개해야 되는 아
(숙종 년 에41 ) 중건한 사실이 있으나 년에1926 쉬움은 있지만, 우국충정과 민족의 자존감이나 스님의
응진전(應眞殿)을 제외한 모든 건물이 화재로 소 크신 기개를 다시 한 번 고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
실된 것을 재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데 대해 감사한 마음을 갖는다.
주요 문화재 및 건물로는 국보 제75호인 청동
함은향완(靑銅含銀香琓)을 비롯하여 보물 제467 나무아미타불 동산불교대학·대학원
호의 삼층석탑이 있으며, 석등(石燈)·표충서원
(表忠書院)·대광전(大光殿) 등의 지방문화재와 DongSan Buddhist Academy
25동의 건물, 사명대사의 유물 여300 점이 보존
되어 있다.
표충사(表忠寺) 경내(境內) 유물관(遺物館)에
전시(展示)되고 있는 이 금란가사(金欄袈娑 : 스
님들이 장삼위에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
이 밑으로 걸쳐입는 法衣)와 장삼(長衫 : 스님들
이 평상시에 입는 길이가 길고 소매를 넓게 만든
|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