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의 사회화 > 정보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동산반야회 동산불교대학


동산소식
정보자료실 Home > 동산소식 > 정보자료실

‘효’의 사회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09-06-12 09:23 조회3,769회 댓글0건

본문

각현 스님 복지법인 연꽃마을 이사장
기사등록일 [2009년 06월 10일 09:39 수요일]

21세기를 특징짓는 변화 가운데 하나는 지난 세기 세계를 이끌었던 서구중심의 문화로부터의 탈피가 심화 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이성과 합리성을 바탕으로 한 개발과 물량위주로 인한 서구 근대정신의 폐해와 한계를 극복하여야 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인류문명의 중심이 동양으로 옮겨 올 것이라는 전망을 내 놓고 있다.
자유분방한 사고와 시장원리를 최고의 가치로 발전해 왔던 서구의 물질위주의 사상은 점점 설 자리를 잃고 있는 것이다. 이미 세계적인 석학들은 21세기를 ‘환태평양의 시대’라고 규정하고, 유구한 역사와 심오한 정신문화를 간직한 한국, 일본, 중국 등의 문명으로부터 인류에게 행복을 안겨줄 가치를 캐내고자 탐구해 오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에서 어느 국가도 내놓을 수 없는 독특한 전통 문화를 찾는다면 그것은 ‘효’ 사상일 것이다. 일찍이 20세기 역사학자 아놀드 조셉 토인비(A, Toynbee)는 “장차 한국문화가 인류문명에 기여할 것이 있다면 그것은 부모를 공경하는 효 사상일 것이다.”라고 이미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현실은 어떠한가. 우리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이며, 모든 도덕과 윤리의 기준이었던 효가 지금 실종되고 있다. 산업화와 도시화, 핵가족화로 인한 전통적 가치 규범의 쇠퇴가 가져다 준 업보다.
우리 사회가 산업화 되는 과정에서 전통윤리관은 역사발전을 거역하는 장애물처럼 여겨져 평가절하됐지만 효의 본질만은 어제나 오늘이나 세계적이고 보편성을 가진 윤리규범임에 틀림없다. 효는 유교의 전유물이 아니라 고조선과 삼국시대부터 내려온 한민족의 고유 사상이었다.
옛 성인이 “효는 덕(德)의 근본이요, 만행(萬行)의 근원이며 가르침(敎)의 시작”이라고 했듯이, 한국 정신문화의 정수이며, 사회질서의 원동력이고, 도덕과 윤리의 기본 잣대로 여겨왔던 효를 회복하여 정신문화의 혼돈과 사회 병리 현상을 치유하는 처방책으로 제시하자고 제안한다. 효는 사랑이며, 공경이며, 질서이며 봉사다. 효는 상경하애(上敬下愛)하는 것이며, 상하를 구별하는 잣대이고, 가정윤리뿐 아니라 사회윤리의 뿌리이며 인간이 인격을 이루는 근본인 것이다. 효는 가정의 질서를 찾는 데서부터 출발한다.
가정은 사회를 구성하는 기초 단위이며, 인성교육을 실현하는 가장 효과적인 집단이기 때문이다. 가정에서부터 건전한 인성교육, 가치교육이 이루어지고 그것을 점차 확대하여 강화시켜 나갈 때 윤리부재에서 오는 사회의 병리현상도 치유할 수 있다고 본다. 개인, 가족, 이웃, 국가, 세계가 서로 분리된 단어가 아니라 가족단위를 중심으로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가정에서의 사랑과 공경의 마음이 가정의 문턱을 넘어 사회나 국가에 전달된다면 모든 사회조직도 가족적 친밀감과 결속력으로 건강한 사회적 기능을 다하게 될 것이다.
효의 사회적 확대를 통하여 부모에 대한 사랑, 공경, 봉사의 마음을 이웃과 사회로 성장시켜 인격을 고양시키는 방향으로 확대 한다면 효가 만물에 대한 사랑으로 넓혀지는 진정한 사회화의 원동력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효의 사회화’란 나의 부모에 대한 효를 확대하여 모든 부모에 대한 효로 승화시키고자하는 노력이며, 진정한 경노사상(敬老思想)도 여기에서 찾아야 된다고 생각한다.
‘효의 사회화 운동’이란 효를 단지 부모에 대한 도리에서 그치지 않고 사회의 질서를 지키는 기반으로써, 공적 규범으로써 재인식하고 그 참된 가치를 현대사회 속에서 실현시키고자 하는 노력을 말한다.
‘효의 사회화 운동’이야말로 국민 모두가 참여하는 ‘가정 회복 운동’이며, ‘효 실천 운동’이고, 흩어진 도덕과 윤리를 바로 세우는 ‘도덕 재무장 운동’이며 동물적 인간을 인간다운 인간의 얼굴로 되돌리는 ‘인간성 회복운동’이다. 만약 동양에서 미래의 인류에게 행복을 안겨줄 가치를 찾는다면, 한국의 정신문화는 분명 효의 선양으로 정신적 지도국의 위치를 확보할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 그렇다면 한국의 전통문화가 고스란히 묻어있는 한국불교가 ‘효의 사회화 운동’을 전개해보면 어떨까.
각현 스님 복지법인 연꽃마을 이사장
1001호 [2009년 06월 10일 09:39] 법보신문에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정보자료실 Home > 동산소식 > 정보자료실 목록
Total 55건 1 페이지
정보자료실 Home > 동산소식 > 정보자료실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5 등운산 고운사 사찰 순례 인기글 관리자 02-11 426
54 혜명당 무진장 대종사 4주기 추모다례재 인기글 관리자 07-15 691
53 불기2561년 연등회 축제 인기글 관리자 07-15 674
52 제1회 동산불교대학 사진반 전시회 인기글 관리자 07-12 1466
51 내가 만난 달라이라마 -법보신문에서 인기글 관리자 06-18 3182
50 염불합시다 인기글 관리자 09-18 2420
49 [교육] 웰다잉심화교육/사찰음식캠프/노인자살예방 강사양 인기글첨부파일 김현임 09-07 2409
48 동산반야회,동산불교대학 이상우이사장 취임 인기글 관리자 01-04 2827
47 격동기를 산 변호사의 삶, 그리고 불교이야기 인기글 최고관리자 12-22 2766
46 박정동교수의 홍차이야기 인기글 관리자 09-02 3195
45 덕산 김재일법사 3주기 추모및 부도탑제막식 인기글 관리자 06-15 3968
44 불교를 더욱 아름답게 알리겠습니다. 인기글 홍현표 04-02 3090
43 일본 불교 성지순례 여행 아시나요 인기글 최고관리자 03-16 4681
42 “위빠사나, 붓다 근본수행과 거리 멀다” 인기글 최고관리자 03-11 3761
41 야나기무네요시의 나무아미타불 인기글 최고관리자 03-09 4024
40 동산불교대 34회-대학원 25회 졸업식 인기글 관리자 03-09 3839
39 3월 5일(토) 오후4시, 명상의 뇌과학 공개강좌 인기글 윤은종 02-28 3436
38 사찰음식문화학과 정산스님 신문기사 인기글 관리자 02-09 4605
37 "힘차게 신나게 멋있게" 염불합시다 인기글 관리자 08-10 4250
36 제6차 전국염불만일회 만해마을서 열린다 인기글 최고관리자 07-12 3819
게시물 검색

동산반야회 소개 | 대학 소개 | 대학원 소개 | 의식교육원 소개 | 개인정보 취급방침 | 서비스 이용약관
동산반야회 불교대학
주소 : (03150)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45-11 (수송동46-20)
전화 : 02)732-1206~8 / 팩스 02)732-1207 / Email : dongsan@dongsanbud.net

COPYRIGHT DONGSANBUD.NET, ALL RIGHTS RESERVED